과정소개
건물이 점차 대형화, 고층화, 밀집화되고, 고인화성 물질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화재가 발생하면 대형화재로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화재를 초기에 진화하고,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소방대상물에 적합한 소화시스템을 설계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과정은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의 출제과정 중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과정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출제 흐름과 핵심 포인트를 살펴보는 자격시험 대비 과정이다.
학습목표
· 소방기계시설의 구성요소별 조작과 특성을 이해하며, 소방시설의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
· 소방시설의 시공실무 및 유지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자격증을 대비할 수 있다.
학습대상
· 소방설비 기계분야에 이론 및 실무가 부족하여 소방교육이 필요한 분
· 소방안전분야에 재직하면서 소방설비 기계분야에 업무상 도움이 필요한 분
· 소방설비 기계분야(산업기사, 기사, 소방시설관리사, 소방기술사)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하기 위해 준비하는 분
· 소방설비업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서 직무상 소방기계시설의 이론 교육이 필요한 분
학습내용
-
1. (이산화탄소소화설비)개요
2. (이산화탄소소화설비)구성요소
3. (이산화탄소소화설비)소화약제의 저장용기
4. (이산화탄소소화설비)국소방출방식 소화약제양
5. (이산화탄소소화설비)배관 및 분사헤드
6. (이산화탄소소화설비)자동폐쇄장치
7. (할론소화약제)종류 및 저장용기
8. (할론소화약제)소화약제의 설계농도 계산법
9. (할론소화약제)국소방출방식의 소화약제양
10.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개요
11.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저장용기의 충전밀도
12. (분말소화설비)개요 및 가압용 가스용기
13. (분말소화설비)압력조정장치
14. (소화용수설비)소화수조
15. (제연설비)개요
16. (제연설비)설치장소
17. (제연설비)배출구 및 동력장치
18. (연결살수설비)개요 및 헤드
19. (연결송수관설비)개요 및 방수기구함
20. (연소방지설비)개요 및 연소방지설비 면제
학습방법
웹+모바일 병행학습
수료기준
※모든 평가항목에 응시하여야 수료 가능합니다.
평가항목 |
점수비중 |
과락기준 |
유의사항 |
진도 |
20
차시
|
수료필수조건
|
80
%
이상
|
|
시험 |
2
회
|
100
%
|
0
점 이상
|
|
총계 |
- |
100%
|
60
점 이상
|
총점 평균
60
점 미만 시 수료 불가
|